맨위로가기

무송 윤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송 윤씨는 고려 예종 때 현리를 지낸 윤양비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17명을 배출했으며, 본관은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있던 옛 행정 구역 무송이다. 주요 인물로는 고려 시대의 윤택, 윤소종, 조선 시대의 윤회, 윤자운, 윤형 등이 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가 윤세주를 배출했다. 2015년에는 14,572명이 무송 윤씨 성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송 윤씨 - 윤회 (조선)
    윤회는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태종과 세종의 신임을 받으며 이조정랑, 예문관제학, 집현전제학 등을 역임했고 훈민정음 창제와 《자치통감훈의》 편찬에 기여했으며 청백리이자 문장가로 이름을 떨쳐 사후 문도라는 시호를 받았다.
  • 무송 윤씨 - 윤자운
    윤자운은 조선 초 문신으로 세종의 총애를 받은 윤회의 손자이자 신숙주의 처남이며, 여러 관직을 거쳐 수양대군 즉위 후 좌익공신에 책록,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성격이 편협하고 뚜렷한 업적을 남기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무송 윤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개요
본관고창군 성송면 무송리
시조윤양비
주요 인물윤택
윤소종
윤회
윤자운
공회빈
윤세주
윤영오
윤석헌
윤영선
통계 (2015년)14,572명
역사
창성윤양비(尹良庇)
주요 인물
왕실과의 관계공회빈 윤씨 (恭懷嬪 尹氏)
기타 인물윤택
윤소종
윤회
윤자운
윤세주
윤영오
윤석헌
윤영선

2. 역사

무송(茂松)은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무장면의 옛 행정구역 이름이다. 무장면은 무송과 장사(長沙)가 합쳐진 이름이다. 백제 때에는 송미지현(松彌知縣)과 상로현(上老縣)이었고,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에 무송과 장사현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1417년(태종 17년)에 두 현을 통합하여 무장현(茂長縣)으로 개편하였다. 1906년에 전라북도로 소속되었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무장군이 폐지되고 무장면으로 축소되어 고창군에 편입되었다.

2. 1. 시조 및 기원

무송 윤씨(茂松尹氏) 시조 윤양비(尹良庇)는 고려 예종 때 현리(縣吏)로서 등과하여 보승낭장(保勝郎將)과 호장동정(戶長同正)을 지냈다. 윤양비의 묘는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에 있다.[4]

2. 2. 고려시대

시조 윤양비(尹良庇)는 고려 예종 때 현리(縣吏)로서 등과하여 보승낭장(保勝郎將)과 호장동정(戶長同正)을 지냈다. 윤양비의 묘는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에 있다.[4]

2. 3. 조선시대

무송 윤씨는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17명을 배출하였다.[4]

3. 본관

무송(茂松)은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무장면에 있던 옛 행정구역이다. 무장면은 무송과 장사(長沙)가 합쳐진 이름이다. 백제 때에는 송미지현(松彌知縣)과 상로현(上老縣)이었고,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무송과 장사현으로 개명하였으며, 1417년(조선 태종 17)에 두 현을 통합하여 무장현(茂長縣)으로 개편하였다. 1906년에 전라북도로 소속되었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무장군이 폐지되고 무장면으로 축소되어 고창군에 편입되었다.

4. 분파

분파명
대사성공파
장령공파


5. 인물

5. 1. 고려


  • 윤택(1289년 ~ 1370년) : 윤비의 증손. 고려 때 정당문학, 첨의찬성사를 지냈다.
  • 윤소종(1345년 ~ 1393년) : 윤택의 손자. 1360년(고려 공민왕 9) 성균시에 합격했고, 춘추수찬을 배수받았다. 1379년(고려 우왕 5) 전교시승·전의부령·예문응교를 지내고, 1386년 성균사예로 기용되었다.

5. 2. 조선


  • 윤소종(1345년 ~ 1393년) : 윤택의 손자. 1360년(고려 공민왕 9) 성균시에 합격했고, 춘추수찬을 배수받았다. 1379년(고려 우왕 5) 전교시승·전의부령·예문응교를 지내고, 1386년 성균사예로 기용되었으며, 조선 개국 후 병조전서로 회군공신 3등에 책록되었다.
  • 윤회(1380년 ~ 1436년) : 윤소종의 아들. 1401년(태종 1)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좌정언, 이조·병조 좌랑 등을 역임하고, 1417년 승정원의 대언이 되어 왕을 보좌하였다. 태종은 그의 학문과 재질을 높이 평가하여 병조참의로 승진시켰다. 1420년(세종 2) 집현전 설치 후 1422년 부제학으로 발탁되었다. 이후 동지우군총제에 임명되기도 했지만, 주로 예문관제학·대제학과 같은 문한직을 역임하였다.[1]
  • 윤자운(1416년 ~ 1478년) : 윤회의 손자. 1469년 우의정, 이듬해 영의정에 올랐다. 성종 즉위 후 좌리공신으로 무송부원군 겸 예조판서에 봉해졌다.[2]
  • 윤형(1549년 ~ 1614년) : 윤자운의 5세손. 1586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공조판서·호조판서·판중추부사·판의금부사·경기감사 등을 역임하고, 1611년 광국공신 2등으로 무성부원군에 봉해졌다. 시호는 충정(忠靖)이다.[3]

5. 3. 일제강점기

윤세주(1901년 ~ 1942년)는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다.[1]

5. 4. 대한민국


  • 윤소종(尹紹宗, 1345년 ~ 1393년) : 윤택의 손자. 1360년(고려 공민왕 9) 성균시에 합격했고, 춘추수찬(春秋修撰)을 배수받았다. 1379년(고려 우왕 5) 전교시승(典校寺丞)·전의부령(典儀副令)·예문응교를 지내고, 1386년 성균사예로 기용되었으며, 조선이 개창되자 병조전서(兵曹典書)로 회군공신 3등에 책록되었다.[1]
  • 윤회(尹淮, 1380년 ~ 1436년) : 윤소종의 아들. 1401년(태종 1)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좌정언, 이조 · 병조 좌랑 등을 역임하고, 1417년에는 승정원의 대언(代言)이 되어 왕을 보좌하였다.[2] 이때에 태종은 그의 학문과 재질을 높이 평가하여, 병조참의로 승진시켰다. 1420년(세종 2)에 집현전이 설치되자 1422년에 부제학으로 발탁되었다. 그 뒤로 한때 동지우군총제(同知右軍摠制)에 임명된 적도 있었지만, 주로 예문관제학 · 대제학과 같은 문한직(文翰職)을 역임하였다.[3]
  • 윤자운(尹子雲, 1416년 ~ 1478년) : 윤회의 손자. 1469년 우의정, 이듬해 영의정으로 승진하였다.[4] 성종이 즉위하자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무송부원군 겸 예조판서(茂松府院君兼禮曹判書)에 봉해졌다.
  • 윤형(尹泂, 1549년 ~ 1614년) : 윤자운의 5세손. 1586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공조판서·호조판서·판중추부사·판의금부사·경기감사 등을 지내고, 1611년 광국공신(光國功臣) 2등으로 무성부원군(茂城府院君)에 봉해졌다. 시호는 충정(忠靖)이다.
  • 윤세주(尹世胄, 1901년 ~ 1942년) : 독립운동가
  • 윤석헌(尹碩憲, 1948년 ~ ) : 제13대 금융감독원
  • 윤영선(尹永善, 1956년 ~ ) : 제24대 관세청장

6. 집성촌

7. 항렬

세(世)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
항렬자헌(憲)세(世)선(善)태(泰)상(相)희(熙)재(在)석(錫)영(泳)동(東)섭(燮)규(圭)회(會)영(永)식(植)


8. 인구

연도가구 수인구 수
1985년2,470가구10,320명
2000년4,119가구13,384명
2015년14,572명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무송윤씨 茂松尹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4
[3] 웹사이트 윤씨(尹氏) 본관(本貫) 무송(茂松)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4] 간행물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